정보 접근 지원


북한 사람들이 외부 정보에 안전하게 접근하도록

물리적, 기술적 지원 방식을 개발하고 제공합니다.


왜 이 일이 중요할까요?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정보 환경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모든 통신, 우편, 방송 인프라를 국가가 소유하며

극소수 지배층을 제외한 주민들은 인터넷 활용이 불가합니다.  주민 간 정보 교류와 확대를 막기 위해 서로를 감시하는 제도를 운영합니다. 


하지만 북한 당국의 정보 유입 차단이 심화될 수록 북한 주민들은 점진적인 변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 스마트폰 보급으로  비공식 정보 네트워크 형성
  • 외부 정보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과 교류 활성화
  • 정보의 접근과 공유가 북한 주민들의 시야를 확장


정보 접근 지원 사업의 원칙


우리는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활동합니다.

  • 맞춤형 콘텐츠 개발 : 북한 출신 사람들과 협력하여 현 시점에 가장 유용한 정보 제작
  • 혁신적 기술 활용 : 북한의 특수한 환경에 맞는 정보 전달 방식과 도구 개발 
  • 안전성 강화 : 정보 접근 과정에서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 및 보안 기술 스택 개발
  • 철저한 검증과 협력  : 신규 프로젝트 배포 전 북한 출신 및 국제 네트워크의 엔지니어 그룹과 함께 테스트 진행


정보 접근 지원 사업의 성과


지금까지 5개의 혁신적 기술 프로젝트, 18개의 맞춤형 콘텐츠 개발이 진행되었습니다. RFA, VOA 등 국제 방송과 함께 북한 내 미디어 송출을 진행하며 더 넓은 범주의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세계 각국의 기술 전문가, 콘텐츠 크리에이터, 활동가, 연구원, 그리고 후원자 등 약 40명의 주요 인사들과 함께 글로벌 서밋을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우리는 최신 기술 동향 및 시제품 공유 등 북한의 현 실정에 맞는 기술과 정보 개발을 위해 협력했습니다.



정보 접근 지원

북한 사람들이 외부 정보에 안전하게 접근하도록 

물리적, 기술적 지원 방식을 개발하고 제공합니다. 

왜 이 일이 중요할까요?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정보 환경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모든 통신, 우편, 방송 인프라를 국가가 소유하며

극소수 지배층을 제외한 주민들은 인터넷 활용이 불가합니다.  주민 간 정보 교류와 확대를 막기 위해 서로를 감시하는 제도를 운영합니다. 


하지만 북한 당국의 정보 유입 차단이 심화될 수록 북한 주민들은 점진적인 변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 스마트폰 보급으로  비공식 정보 네트워크 형성
  • 외부 정보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과 교류 활성화
  • 정보의 접근과 공유가 북한 주민들의 시야를 확장

정보 접근 지원 사업의 원칙

우리는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활동합니다.

  • 맞춤형 콘텐츠 개발 : 북한 출신 사람들과 협력하여 현 시점에 가장 유용한 정보 제작
  • 혁신적 기술 활용 : 북한의 특수한 환경에 맞는 정보 전달 방식과 도구 개발 
  • 안전성 강화 : 정보 접근 과정에서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 및 보안 기술 스택 개발
  • 철저한 검증과 협력  : 신규 프로젝트 배포 전 북한 출신 및 국제 네트워크의 엔지니어 그룹과 함께 테스트 진행

정보 접근 지원 사업의 성과

지금까지 5개의 혁신적 기술 프로젝트, 18개의 맞춤형 콘텐츠 개발이 진행되었습니다.  

RFA, VOA 등 국제 방송과 함께 북한 내 미디어 송출을 진행하며 더 넓은 범주의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세계 각국의 기술 전문가, 콘텐츠 크리에이터, 활동가, 연구원, 그리고 후원자 등 약 40명의 주요 인사들과 함께 글로벌 서밋을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우리는 최신 기술 동향 및 시제품 공유 등 북한의 현 실정에 맞는 기술과 정보 개발을 위해 협력했습니다.

안전한 기술, 우리의 도전

링크는 정보 제공이 북한 내부에 미치는 영향을 상시 모니터링합니다. 

다국적 엔지니어 그룹, 국제 인프라를 갖춘 미디어 등과 함께 장기적 관점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최신 기술을 도입합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우리는 북한 출신 사람들과 긴밀히 협력합니다.

협력은 단순한 선택이 아닌 우리 사업의 핵심 전략입니다.

북한 출신 사람들은 북한 사회의 문화와 맥락을 이해하고 통찰력을 제공하며

언어 정확도와 접근 위험도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정보접근 지원은 가장 복잡한 과제인 동시에 새로운 가능성을 만드는 열쇠입니다."

안전한 기술, 우리의 도전


링크는 정보 제공이 북한 내부에 미치는 영향을 상시 모니터링합니다. 다국적 엔지니어 그룹, 국제 인프라를 갖춘 미디어 등과 함께 장기적 관점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최신 기술을 도입합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우리는 북한 출신 사람들과 긴밀히 협력합니다. 협력은 단순한 선택이 아닌 우리 사업의 핵심 전략입니다. 북한 출신 사람들은 북한 사회의 문화와 맥락을 이해하고 통찰력을 제공하며 언어 정확도와 접근 위험도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정보접근 지원은 가장 복잡한 과제인 동시에 새로운 가능성을 만드는 열쇠입니다."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Visit LiNK International
국제인권단체 링크(LiNK, Liberty in North Korea) 한국지부 대표 : 박석길 고유번호 : 106-82-65990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15